hoony's web study

728x90
반응형

Flutter에서 pubspec.yaml 파일에 있는 version 필드는 앱의 버전 정보를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. 이 필드는 개발자가 직접 작성하며, 외부에서 자동으로 가져오는 값이 아니라 수동으로 설정하는 값입니다. 즉, version은 Flutter 프로젝트의 버전을 관리하기 위해 개발자가 명시적으로 지정하는 부분입니다.

1. pubspec.yamlversion 필드란?

  • 위치: pubspec.yaml 파일의 최상위 수준에 정의됩니다.
  • 형식: 일반적으로 version: <버전 번호> 형식으로 작성되며, Semantic Versioning 규칙을 따르는 것이 관례입니다.
    • 예: version: 1.0.0
    • 또는 빌드 번호를 추가: version: 1.0.0+1
  • 용도:
    • 앱의 버전을 나타냅니다.
    • Android에서는 versionNameversionCode, iOS에서는 CFBundleShortVersionStringCFBundleVersion으로 매핑됩니다.
    • 앱 스토어(Google Play Store, Apple App Store)에 배포할 때 버전 식별에 사용됩니다.
name: my_app
description: A new Flutter project.
version: 1.0.0+1
environment:
  sdk: ">=2.12.0 <3.0.0"
dependencies:
  flutter:
    sdk: flutter
  • 1.0.0: 버전 이름(versionName) -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버전.
  • +1: 빌드 번호(versionCode) - 내부적으로 앱의 빌드 순서를 나타냄.

2. version 값은 어떻게 정해야 하나?

version은 외부에서 가져오는 것이 아니므로, 개발자가 프로젝트의 버전 관리 정책에 따라 설정합니다. 일반적으로:

  • Semantic Versioning (SemVer):
    • 형식: MAJOR.MINOR.PATCH+BUILD
    • MAJOR: 큰 변경 (기존 호환성 깨짐)
    • MINOR: 기능 추가 (호환성 유지)
    • PATCH: 버그 수정
    • BUILD: 빌드 번호 (배포 시마다 증가)
    • 예: 1.2.3+4
  • 업데이트 예시:
    • 최초 배포: 1.0.0+1
    • 버그 수정: 1.0.1+2
    • 기능 추가: 1.1.0+3
    • 큰 변경: 2.0.0+4

 

항상 기억보다는 기록이 중요하기에 오늘도 이렇게 포스팅을 합니다.

728x90

공유하기

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
loading